요즘 같은 계절에는 알레르기비염 증상을 호소하는 사람이 많아진다. 꽃가루, 미세먼지, 황사 등 알레르기비염을 일으키는 원인이 더욱 늘어나는 탓이다. 알레르기비염은 비교적 흔한 질환이지만 삶의 질을 개선하고 장기적 합병증을 막으려면 원인 항원을 피하며 적절한 치료를 해야 한다.

정희진(약제팀 약사)

봄과 함께 찾아오는 질환, 비염

추운 겨울이 끝나고 날씨가 매일 다르게 따뜻해지고 있습니다. 전 추운 걸 싫어해서 이런 변화를 환영하는 편이지만, 봄이 오는 걸 썩 좋아하지 않는 사람도 있습니다. 제 친구는 꽃가루 알레르기가 있는데, 이맘때 형형색색 피는 꽃에 홀리는 주위 사람들과 달리 그 친구는 진저리를 치며 코에 휴지를 달고 다녔던 기억이 납니다.

비염은 어떤 원인으로 콧물, 재채기, 간지러움, 코막힘 등의 증상이 생기는 질환인데, 이 중 코점막이 원인 항원에 노출되어 염증이 생기는 걸 알레르기비염이라고 합니다. 알레르기비염은 원인 항원이 존재하는 시기에 따라 통년성, 계절성으로 나눕니다. 통년성은 집 먼지처럼 1년 내내 발생할 수 있는 항원이 원인이지만, 계절성 알레르기비염의 항원은 특정 시기에 발생합니다.

대부분의 알레르기비염 환자는 증상 개선을 위해 회피요법과 약물요법이 둘 다 필요합니다. 사용 약물은 경구나 비강 분무 항히스타민제와 비강 분무 스테로이드제, 비충혈제거제, 비만세포안정제, 류코트리엔 수용체 길항제, 항콜린제가 있습니다.

알레르기비염은 증상과 심각도에 따라 단계적 치료 순서를 적용하고 2~4주 정도 치료 반응을 본 후 치료 과정을 결정합니다. 알레르기비염 치료약물 중에는 처방전 없이 살 수 있는 일반 약이 다양하고 점점 더 많아지므로 환자 스스로 약에 대해 알아두는 것이 좋겠습니다.

알레르기비염 약 복용 시 주의할 점 3가지

콧물, 재채기, 두드러기 등을 가라앉힐 수 있는 항히스타민제는 개발시기에 따라 1세대와 2세대로 나눕니다. 일반 약으로 쓰는 1세대 항히스타민제는 클로르페니라민(Chlorpheniramine), 트리프롤리딘(Triprolidine), 디펜히드라민(Diphenhydramine)이고, 2세대는 세티리진(Cetirizine), 로라타딘(Loratadine), 펙소페나딘(Fexofenadine)입니다. 1세대 항히스타민제는 약효 지속 시간이 짧아서 하루에 3~4번 복용해야 하며, 졸음이나 입 마름 등의 부작용이 생길 수 있습니다.

‘알레르기 약을 먹으면 졸리다’ ‘콧물약을 먹으면 졸리다’라는 말이 바로 이 1세대 항히스타민제 때문에 나온 것입니다. 반대로 2세대 항히스타민제는 이러한 부작용이 적게 나타나고 약효 지속 시간이 길어서 하루에 1~2번 복용합니다.

술을 마시면 부작용이 더 많이 나타날 수 있으니 피하는 것이 좋고, 입 마름, 변비 등이 나타날 수 있으니 물을 충분히 마시거나 껌을 씹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수면제나 안정제, 항우울제 등도 이러한 부작용의 위험을 높일 수 있으니 약을 복용 중이라면 상담이 필요합니다. 특히 노인에게는 어지럼증, 배뇨장애 등도 나타날 수 있으니 전립선비대증이 있는 환자라면 더욱 주의해야 합니다. 만약 알레르기 피부검사를 받아야 할 일이 있다면 항히스타민제가 검사 결과를 부정확하게 할 수 있으니 검사 4일 전 복용을 중단해야 합니다.

항히스타민제는 먹는 형태뿐 아니라 코안에 뿌릴 수 있는 비강 분무 형태도 있는데 쓴맛 때문에 불편해하기도 합니다.

비강 분무 형태로 된 약에는 스테로이드도 있습니다. 알레르기비염 증상이 중증, 중증도일 때 항히스타민제로 조절되지 않으면 사용합니다. 효과가 우수하며 먹는 스테로이드에 비해 부작용이 아주 적습니다. 하지만 치료 효과가 바로 나타나지 않고, 사람에 따라 2~3주 정도 후에 나타나기도 하므로 인내가 필요합니다. 코안에 뿌리는 약을 쓸 때는 먼저 코를 풀어 코안을 깨끗이 하고, 약을 고루 흔들어서 잘 섞이게 합니다. 새것을 처음 사용할 때나 오랜만에 사용할 때는 우선 허공에 몇 번 뿌리는 것이 좋습니다.

고개를 살짝 앞으로 숙이고, 약통 입구를 한쪽 콧구멍 안에 넣고 나머지 콧구멍은 손으로 막습니다. 약을 뿌리는 동시에 숨을 들이마셔야 하는데, 이때 약통 입구가 코 가운데 뼈를 향한 채 뿌리면 점막을 자극해서 코피가 날 수 있으니 꼭 콧방울 쪽으로 뿌려야 합니다. 저는 왼쪽 콧구멍에는 오른손으로, 오른쪽 콧구멍에는 왼손으로 약통을 잡고 뿌리니 편했습니다. 코에서 약통을 빼고 나서는 약액이 흘러내리지 않도록 몇 번 훌쩍거려주고, 약통 입구를 휴지 등으로 깨끗하게 닦고 뚜껑을 덮어 보관해야 합니다.

항히스타민제는 코막힘에는 효과가 없는데, 이때 필요한 것이 비충혈제거제입니다. 슈도에페드린(Pseudoephedrine), 페닐에프린(Phenylephrine)이 이에 속하는데, 코점막의 혈관들이 부풀어 코가 꽉 막힌 상태에서 혈관을 수축시키고 혈류를 감소시켜 코막힘을 없앱니다. 종합감기약 중에 비충혈제거제가 많이 든 제품 이름에 ‘노즈’나 ‘코’가 많이 들어갑니다. 코막힘증상을 가라앉히는 효과를 나타내기 위한 작명 센스죠. 먹는 약과 코에 뿌리는 분무제가 있는데, 경구제는 분무제보다 효과가 빠르지는 않지만, 효과가 더 오래가며 국소 자극이 덜합니다. 분무제는 오래 사용하면 혈관이 수축했다가 반동성으로 확장되어 지속적인 비충혈 증상이 생기기도 합니다. 이것을 약물 유발성 비염이라 하는데, 사람에 따라 분무제를 몇 주씩 써도 괜찮기도 하지만 보통 3일 이상 연속해서 사용하는 것을 추천하지 않습니다.

만약 약물 유발성 비염이 발생했다면, 원인인 분무 비충혈제거제를 몇 주에 걸쳐 서서히 사용을 줄이거나 바로 중단해볼 수 있습니다. 바로 중단한다면 며칠에서 몇 주 동안 비충혈 증상을 참아야 하므로 분무 스테로이드를 사용할 수 있지만, 그 또한 효과가 나타나려면 며칠이 걸릴 수 있습니다.

알레르기비염은 비교적 흔한 질환이지만 삶의 질을 개선하고 장기적 합병증을 막으려면 원인 항원을 피하며 적절한 치료를 해야 합니다. 특히 종합감기약에는 알레르기 약 성분들이 섞여 있어 같은 약을 중복으로 쓰게 될 수 있으니 상비약을 준비하거나 복용 전에 꼭 주의해서 살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