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과 박정익 교수

봄날의 햇살처럼
희망을 말하다

어릴 적 품은 꿈대로 의사, 그중에서도 외과의가 된 울산대학교병원 외과 박정익 교수. 환자가 온 마음으로 전하는 신뢰를 감사히 받는 그는 ‘환자를 살리는 일’로 보답한다. 봄날의 햇살이 반짝이는 외과 진료실에서 박정익 교수를 만났다.

편집부 / 사진 백기광(스튜디오100)

좋아서 하게 된 정신건강의학과 의사

초등학교 재학 시절 장래 희망을 쓰는 칸에 늘 ‘의사’를 적었던 아이는 결국 꿈을 이루었다. 울산대학교병원 외과 박정익 교수의 이야기다. 처음에는 막연한 희망사항에 불과했지만, 희망 사항을 좀 더 구체화하는 계기가 있었다.

“중학교 시절 사고를 당해 외상성 경막외혈종으로 수술받았습니다. 입원 기간에 만난 의사 선생님들을 동경하면서 어린 시절 꿈은 모양을 갖추기 시작했습니다. 또 학창 시절 『닥터스』와 『닥터 노먼베쑨』을 읽으면서 의사라는 꿈이 더 공고해졌습니다. 고된 업무와 끊임없는 노력으로 얻는 성취감, 생명의 존엄성에 대한 고민, 단순히 환자만 치유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를 변화시키고 치유할 수 있는 선한 영향력을 가진 직업이라는 점에 무한 매력을 느꼈습니다.”

결국 의사가 된 그는 진료과 중에서도 외과를 선택했다. 처음부터 외과의가 뚜렷한 목표였던 건 아니었지만 외과의의 길을 가고 있는 형과 친척의 영향이 많이 작용했다. 또 다른 과에 비해 수술 후 극적으로 쾌유하는 외과 환자들의 모습이 그를 외과로 이끌었다. 그리고 외과 전공의를 수료할 즈음 분과전문의를 선택하는 시점에서 간이식-간담췌외과 전문의의 길을 선택한 데는 스승 이승규 교수에게 가르침을 받을 수 있다는 점이 가장 크게 작용했다.

“이승규 교수님은 불모지였던 간이식 수술 분야를 개척하시고 더 나아가 세계 최초로 새로운 수술법을 만들어내신 분으로서 스스로 발전하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고, 언제나 최선의 치료를 하시기 위해 주야를 잊고 고민하시던 분이었습니다. 바로 제가 학창 시절 꿈꿨던 의사의 모습이었습니다. 당시 서울아산병원 간이식 외과의 수련 과정은 한 달에 하루 정도만 비번(off-duty)이 허락될 정도로 고돼서 수련 중 중도 포기자가 많았고 동료들은 아예 지원조차 하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제가 지원한다고 했을 때 주변에서 걱정이 많았습니다. 하지만 당시 저는 ‘지칠 줄 모르는 자, 역경을 지치게 한다’는 좌우명을 가졌던 만큼 힘든 수련 생활은 고민거리가 되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망설임 없이 선택했고, 후회 없이 지금까지 걸어올 수 있었습니다.”

시계 톱니바퀴 속에서 한 걸음 더

박정익 교수가 울산대학교병원 외과에서 진료를 시작한 건 2021년 3월부터다. 올해로 3년 차에 들어선 참이다. 울산대학교병원에 오기 전에는 서울아산병원에서 레지던트와 전임의(펠로우) 과정을 마치고 부산백병원에서 교수로서 첫 발령을 받아 2년, 해운대백병원이 개원하면서 옮겨서 11년을 근무했다. 그는 울산대학교병원 외과에서 간담도췌장수술, 복강경수술, 로봇수술, 간이식 등을 전문으로 진료한다. 박정익 교수만의 치료법을 물었다.

“복잡한 간이식 수술부터 간과 담도 췌장에 발생하는 다양한 종양 절제술, 그리고 담석증에 대한 담낭절제술까지 다양한 스펙트럼의 수술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간암과 췌장암 수술은 최근의 수술 경향에 맞춰 주로 복강경 수술을 시행하지만, 췌장 수술은 로봇수술로 시행하려고 준비하고 있습니다. 특히 저는 담낭 수술에서 미용적 효과와 통증을 최소화할 수 있는 최소침습(로봇, 복강경) 수술을 이용한 단일공 수술의 적응증을 확대해서 시행하고 있습니다.”

박정익 교수는 그의 일상이 시계 톱니바퀴와 같다고 말한다. 일과 시간에는 보통 수술(주로 월·수·금)과 외래진료(화·수·목)로 촘촘하고 알뜰하게 돌아간다. 그가 가진 에너지를 소진하는 일상이지만 그는 외과의로서 성장과 발전을 위해 기꺼이 저녁 시간을 할애한다.

“저녁 시간은 주로 논문작성과 학회 업무를 합니다. 지난 6년 동안 간담췌외과학회 학술위원으로 학술프로그램에 관여하면서 개인적으로도 성장하는 기회였습니다. 올해부터는 교육위원회 이사를 맡아 레지던트와 전임의(펠로우) 교육의 발전적 고민과 프로그램 기획에 시간을 사용할 계획입니다.”

공감하고 신뢰를 건네며

박정익 교수는 ‘수술했던 환자들이 있었기에 지금의 자신이 있다’는 생각에 모든 외과 의사가 공감할 것이라고 말한다. 그 역시 수술했던 수많은 환자를 잊지 않고 기억하고 있다. 그중에서도 좀 더 특별하게 다가왔던 2명의 환자 이야기를 들려준다.

“A 환자는 제가 주니어 외과의였을 시기에 집도했던 담도암 환자입니다. 환자의 모교인 서울의 유명 병원으로 갈 수도 있었지만, 항암은 모교병원에서 하더라도 수술은 저에게 맡기겠다며 무한신뢰를 보여주신 점이 늘 감사하게 남아 있습니다. B 환자는 외부병원에서 수술 후 발생한 간부전증으로 응급 간이식 수술을 받았던 환자입니다. 진균감염으로 간동맥 문합 부위에서 반복적으로 출혈이 생기다 급기야 파열해 세 번의 수술 끝에 결국 재이식을 받고서 회복한 환자입니다. 간동맥 문합 부위가 파열해 세 번째 수술할 때는 중환자실에서 바로 수술실로 들어가 제대로 수술 준비도 하지 못한 채 복부를 열고 혈관을 잡았습니다. 지금 생각해도 떨리는 순간이지만, 그 모든 고비를 극복하고 살아주신 환자에게 감사할 따름입니다.”

박정익 교수는 울산대학교병원 외과를 찾는 환자들에게, 또는 언젠가 찾을 수도 있는 환자들에게 전하고 싶은 이야기가 있다. 울산대학교병원 외과의 수술 역량과 성적은 어디에 내놓아도 절대 뒤지지 않으니 신뢰를 품고 찾아달라는 것이다.

“울산대학교병원 외과는 서울의 대형병원과 비교해 결코 수술 역량과 성적이 부족하지 않습니다. 서울 어떤 병원과도 동등한 선에서 우수한 외과 의사들이 수술을 집도합니다. 굳이 울산에서 서울까지 가는 수고를 하지 않으셔도 후회 없을 것이라고 자부합니다.”

발전하는 의술에 뒤처지지 않고 선도하는 의사, 고통을 공감하는 의사, 신뢰를 주는 의사. 이는 박정익 교수가 외과의로서 늘 새기는 말이다. 따뜻한 어느 봄날의 오후, 박정익 교수가 앉아있는 외과 진료실 안으로 환한 빛이 가득 들어왔다. 마치 “여기 희망이 있다”라고 말하는 것처럼. 아픈 이의 고통에 공감하고 불안한 상황 속에 두터운 신뢰를 건네는 박정익 교수라면 울산대학교병원 외과를 찾아야만 하는 이들에게 찬란한 희망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