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네비게이션

자주하는 질문

Total : 17 (2 / 2 Page)

  • 답변

    표준체중을 유지하는 것이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 심뇌혈관질환 예방과 치료에 중요하다는 사실을 우선 인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과체중 혹은 비만인 경우 체중 감량의 1차 목표를 현재 체중의 10%를 6개월 정도에 걸쳐 줄이는 것으로 잡도록 합니다. 하루에 필요한 열량은 활동적이고 운동이 많은 경우 자신의 체중(kg)에 30을 곱한 값, 운동량이 없는 사람을 26을 곱하면 됩니다. 과체중의 경우 1주일에 0.5 kg의 감량을 목표로 하고, 앞에서 계산한 자신의 하루 필요 열량에서 500kcal 의 섭취를 줄이는 것이 좋은 요령입니다. 지방이나 당분 섭취는 최소화합니다. 채소, 단백질, 섬유질이 풍부한 잡곡 등을 선택합니다. 표준체중에 도달한 후에도 요요현상이 오지 않도록 습관의 유지가 중요합니다.

     

    출처 - 한국지질·동맥경화학회. http://www.lipid.or.kr/ADA. 101 weight loss tips for preventing and controlling diabetes. 2002

  • 답변

    체질량 지수(BMI)에 따라 비만을 평가합니다. 체질량 지수는 킬로그램으로 환산한 체중을 미터로 환산한 신장의 제곱(자승)으로 나눈 수치입니다. 체질량 지수가 18.5 미만일 경우 저체중, 18.5~22.9는 표준, 23~24.9는 과체중 혹은 위험 체중, 25~29.9는 1단계 비만, 30 이상일 경우 2단계 비만으로 평가합니다. BMI가 30 이상인 고도비만의 경우는 건강의 위험이 매우 높아지는데, 특히 중요한 문제가 심장질환입니다. 체중을 줄인다면 이러한 문제들이 좋아질 수 있습니다. 복부비만은 허리둘레를 측정하여 남자는 90 cm, 여자는 85 cm이상인 경우로 규정합니다.

     

    출처 - 대한고혈압학회. 고혈압. 2009. ADA. 101 weight loss tips for preventing and controlling diabetes. 2002

    한국지질·동맥경화학회. http://www.lipid.or.kr/ADA. 101 weight loss tips for preventing and controlling diabetes.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