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정보


수면장애(불면증)

조회 4,187

진료과 : 정신건강의학과 2008-10-28 21:30

수면장애(불면증) 


▣ 불면증이란 어떤 병인가요?


일반적으로 좋은 잠이란 잠자리에 누워서 15분 ~20분 이내에 잠이 들고, 아침에 가볍게 깨고 하루 종일 졸리지 않고 상쾌한 기분을 유지하는 경우를 말합니다. 반면에 불면증이란 쉽게 잠들지 못하고 잠이 든 다음에도 자주 깨거나, 또는 새벽 일찍 깨서 다시 잠들기가 어려운 경우를 말합니다. 불면증이 있으면 낮 시간의 활동에도 영향을 미쳐서 주의집중 저하나 피로감으로 일의 효율이 감소되고 사고의 위험율도 높아집니다. 또한 만성 수면박탈은 스트레스와 감염에 대한 저항력을 감소시켜 신체질환을 일으키는 중요한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 불면증은 왜 생기게 되나요?


불면증의 원인은 매우 다양합니다.


첫째, 불안증이나 우울증,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정신분열병 같은 다양한 정신과 질환으로 생길 수 있습니다.


둘째, 주위 환경이나 잠자는 환경이 바뀌어서 잠이 안 올 수도 있고 긴장하거나 불안해지는(예: 시험 전날) 상황 때문에 생길 수도 있습니다.


셋째, 신체적인 질환인 관절염, 두통 등 통증을 일으키는 모든 질환들, 수면 무호흡 증후군, 중추신경계 질환, 내분비 또는 대사 질환 등 몸이 불편할 때 불면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넷째, 술의 섭취나 중단, 흡연이 수면을 방해하기도 하며 카페인에 민감한 분들에게는 커피, 홍차, 코코아, 일부 진통제나 감기약, 항고혈압제 등이 불면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다섯째, 뚜렷한 신체적 또는 정신적 상태와 관계가 없는 경우도 있습니다.



▣ 주 증상


잠들기가 어려워서 지속적으로 뒤척이거나, 잠이 들어도 자주 깨거나, 한번 깨면 다시 잠들기가 쉽지 않거나, 이른 새벽에 잠이 깨는 등의 증상이 있습니다.



▣ 치
료는 어떻게 하나요?


첫째, 다양한 원인들을 찾아내어 그것을 해결해야 합니다.


둘째, 약물치료를 시행합니다.


셋째, 환경요법을 시행합니다. 수면환경 개선방법은 수면 위생을 호전시키는 것으로 불면증의 치료 뿐 아니라 평소의 수면건강에도 큰 도움이 됩니다.


넷째, 행동 및 인지요법을 시행합니다.


<수면 위생을 위한 여러 가지 방법들>

1. 매일 같은 시각에 일어나기.

2. 침실은 잠잘 때만 이용하고 침대에서 누워 있는 시간을 불면증이 있기 이전의 수준으로 줄이기.

3. 중추신경계 작용약물(카페인, 니코틴, 알코올, 흥분제) 피하기.

4. 낮잠 자지 않기.

5. 아침에 규칙적인 운동으로 신체 단련하기.

6. 수면 2~3시간 전에는 격렬한 운동을 피하고 편안한 환경 조성하기.

7. 잠자리 들기 전에 따뜻한 물로 샤워하기.

8. 규칙적인 식사를 하고 잠자리 들기 전에 과도한 음식 섭취 피하기.

9. 명상이나 복식 요법등 이완 요법 사용하기.

10. 잠자리에 들어서는 소음을 피하고 시계를 멀리하기.